국내 주식

동국산업 주가 및 투자포인트

호구동생 2023. 6. 20. 08:10

1. 기업 개요 : 철강 및 신재생에너지 전문 기업

 
동국산업은 1999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냉연특수강 및 신재생에너지 전문 업체다. 1967년 동국제강의 자회사로서 그룹사 제품을 수출하는 역할을 맡아왔다. 이후, 사업 다각화를 통해 냉연강판 생산개시(1990), 풍력발전 및 풍력타워 사업 (2005)에 진출했다.
 
2022년 2차전지 원통형 케이스에 사용되는 니켈도금강판 진출 후 1,1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 중이다. 2024년 준공 후 2025년 양산 예정이다. 2023년 매출 비중은 철강 78%, 신재생 14%, 건설 7%으로 추정한다.
 
철강: 주요 제품은 냉연특수강(CR, PO)과 칼라인쇄강판이다. 냉연강판은 원재료 인 열연강판을 화학처리하여 고객이 요구하는 스펙으로 생산된다. 생산된 냉연강 판의 약 80%는 자동차용 엔진에 적용되며 나머지는 산업기계 향이다. 주요 고객 사는 현대·기아차를 비롯한 국내·외 자동차 메이커 및 글로벌 자동차 부품사다. 칼라인쇄강판은 가전제품의 내외장재로 사용된다. 특수칼라강판 등 외관을 고급스럽게 꾸미는데 이용되는 고급칼라강판시장에 주력하고 있다. 냉연강판 내 엔진향 매출 비중은 50% 수준으로 추정된다. EV 침투율 확대 국면에서 중장기적 매출 하향이 예견되는 상황이었다. 이에 신성장 동력으로 원통형 배터리에 적용되는 니켈도금강판 사업에 진출한 것으로 풀이된다.
 
신재생 에너지: 풍력타워 등 제조와 풍력단지 건설 사업 부문으로 구성된다. 1~5 년 장기납품 계약을 통해 수주 후 6개월 단기계약 형태로 구매주문(PO)을 받아 생산, 납품하는 구조다. 주요 고객사는 글로벌 풍력발전 업체 Vestas, GE 등이다. 해상 풍력 시장 확대에 따라 2022년 1월 포항 타워 공장을 인수했다. 2023년 하 반기 가동이 예상된다. 점진적 가동률 증가가 전망된다. 풍력 에너지 신규 용량 설치는 해상풍력 130GW를 포함하여 약 680GW가 전망된다.
 
 
 

2. 실적

재무 정보2020/122021/122022/122022/092022/122023/03
매출액5,7827,2918,6051,7231,8211,896
영업이익18534919-13-209-72
EPS12136311917-108-59
PER28.159.7630.7727.6430.77665.48
PBR0.460.460.470.610.470.76

 
 2023년 매출액 7,139억원(-17% YoY), 영업이익 40억 원(+244% YoY)이 전망된다. 철강 부문은 매크로 회복에 따른 판매량 회복이 기대된다. 매출액 5,593억 원 (-9% YoY)가 예상된다.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전년도 기저효과로 2023년 매출액 은 감소가 전망된다. 신재생에너지, 건설 매출액은 각각 1,011억 원(-28% YoY), 535억 원(-50% YoY)이 예상된다.
 
다만, 풍력 발전소 신규 설치 확대 및 해상풍 력 침투율 상승으로 중장기 모멘텀이 기대된다. 2023년은 중장기 실적 성장을 다지는 원년이다. 단기적 실적 반등은 제한될 수 있으나 10년만에 재개하는 신사업(니켈도금강판, 텅스텐)의 성장 잠재력에 주목할 시점이다. 2025년 니켈도금강판 매출액은 약 1,700억 원으로 철강 사업 부문 내 매출 비중 20%가 전망된다.
 
 
 

3. 주가 및 투자포인트 

일봉 차트

 
 주가가 크게 올랏다가 많이 떨어진 상태이다. 차트에는 변곡점을 나타내며 조금 올라온 상태이다.
 
동국산업에 대한 투자포인트
 
1) 원통형 배터리 케이스의 원재료인 니켈도금강판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완성 차 업체의 원통형 배터리 채택률 증가 때문이다. 테슬라와 BMW, 볼보, 재규어는 전기차 원통형 배터리의 채택을 결정했다. GM 또한 ‘원통형 배터리’ 채용 가능성 언급했다.
 
원통형 채택률 증가는 테슬라 4680 원통형 배터리에 나온다. 원통형 배터리는 표준화된 규격으로 생산 비용이 저렴하며, 원활한 수급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 밀도와 용량이 낮아 파우치 및 각형 배터리와 경쟁에서 밀리고 있었다. 테슬라 4680 배터리로 상황이 바뀌었다. 4680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과 출력은 이전 세대 2170 배터리대비 에너지 밀도는 5배 높으며, 출력은 6배 높다 고 파악된다. 이에 따라 주행거리는 16% 향상된다. 약점을 보완한 원통형 배터리의 채택은 높은 생산성으로 전기차 생산 원가 절감으로 이어진다. 전기차 보조금 감소 국면에서 원통형 배터리 채택률 증가가 기대되는 이유다.
 
그로 인해 배터리 회사들은 LG에너지솔루션, 삼성 SDI는 원통형 배터리 공장을 증설 중이다. 2025년 글로벌 원통형 배터리 생산 CAPA는 515GWh로 예상된다. 전기차용 니켈도금강판 수요량은 2025년, 2030년 각각 22.8만 톤, 54.7만 톤이 예상된다.
 
니켈도금강판 생산 확충을 위해 1,100억원 규모로 투자 진행 중이다. 총 13만 톤 의 CAPA로 1차 8만 톤, 2차 5만 톤 증설 예정이다. 2022년 착공하여 2024년 하반기 완공 예정이다. 본격적인 증설로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실질적인 양산 시점 은 2025년 초로 판단된다.
 

해당 글은 주식 매수/매도 추천 글이 아니며, 주식 투자에 대한 책임은 모두 본인에게 있습니다.
 
 

섬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