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

한화솔루션 주가 및 투자 포인트

호구동생 2023. 6. 19. 13:23

1. 기업개요 

 

한화솔루션은 연결실체를 사업부문별로 사업의 특성에 따라 기초소재,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이 있다.

 

사업 부문별 소개를 하자면

 

케미컬 부문에서는 1965년 설립 이후 창의적이고 경쟁력 있는 기술혁신과 글로벌 시장확대를 통해 대한민국 석유화학 산업의 발전을 이끌고 있으며 PVC, CA, TDI 제품 등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큐셀 부문에서는 글로벌 태양광 Total Solution 기업으로, 셀 및 모듈 생 산의 미드스트림에서 발전소 건설 및 운영하고 있으며 전력 리테일에 이르는 다운스트림의 벨류체인을 확보하고 주요 글로벌 마켓에서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큐에너지 부문은 2GW 규모 이상의 재생에너지 자산을 성공적으로 운영해 왔으며, 유럽 내 다양한 국가에서 총 14GW 규모에 달하는 발전소 개발 파이프라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큐에너지 포트폴리오는 태양광을 시작으로 육∙해상 풍력과 대규모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고 있으며 향후 그린 수소 프로젝트에도 참여할 계획입니다. 청정에너지 프로젝트 그린필드 개발부터엔지니어링, 설계∙조달∙시공(EPC), 유지∙보수(O&M) 등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활동 중이며, 더욱 나아가 청정에너지 투자자 가치 창출 및 독립전력생산자(IPP)의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통서비스 부문에 한화갤러리아 백화점이 있으며 인사이트 부문에는 부동산 사업 분야이다.

 

 

2. 한화솔루션 실적

재무정보 2020/12 2021/12 2022/12 분기 2022/09 2022/12 2023/03
매출액 91,950 107,252 136,539   33,657 39,289 31,002
영업이익 5,942 7,383 9,662   3,484 1,822 2,714
당기순이익 3,017 6,163 3,660   1,386 -1202 1,334
EPS 1,840 3,301 1,864   711 -612 621
PER 25.23 10.75 23.06   31.04 23.06 27.43
PBR 1.31 0.84 0.92   0.97 0.92 1.10

 

 한화솔루션의 매출은 케미칼 부문과 신재생에너지가 85% 정도를 차지하며 지배적이다. 매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크게 상승하였다. 23년 1분기는 3.1조의 매출로 지난 분기보다 매출이 줄어들었지만 영업이익이 늘어났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하였다. 중국 리오프닝에도 불구하고 케미칼 영업이익이 부진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업황 둔화와 정책 불확실성에도 한화솔루션은 매출과 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영업이익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신재생에너지 사업 부문의 수익성이 올해 3배가량 개선될 것으로 추정된다.

 

 

3. 주가 및 투자포인트

한화솔루션 주봉 차트

 

 

 국내 태양광 대장주인 한화솔루션 주가는 올해 흐름은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코스피가 올해 18% 상승하는 동안 한화솔루션 주가는 오히려 12.02% 내렸다. 유통 부문 자회사였던 한화갤러리아를 인적분할한 후 지난 3월 말 거래 재개 후에도 주가는 내리막길을 걸었다. 앞서 한화솔루션은 2020년 신재생에너지 투자 열풍의 주축으로 주가가 154% 급등한 종목이다. 주요국 증시가 하락한 지난해에도 주가는 21% 올랐다. 올해 주가 흐름이 시장 평균에도 미치지 못한 건 주력 사업 부문인 태양광 업황 둔화 우려가 지속 중이기 때문이다.

 

한화솔루션에 대한 투자포인트

 

1.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이 태양광 부문 실적이 턴어라운드를 만들 수 있다. 실제 폴리실리콘의 가격이 ㎏당 10.96달러로 5월 대비 19% 하락했다. 지난해 최고가인(28.76달러) 이후 꾸준한 내림세이다. 중국 태양광 업체들의 대규모 증설로 공급은 늘어난 데 반해 태양광 수요는 줄어들며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은 한화솔루션에겐 오히려 원가 경쟁력 강화로 인해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은 단기 실적에 부정적이지만 연간으로는 긍정적이다. 지난 10년 사이클 중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기인 2015~2016년 및 2019~2020년 태양광 부문 실적은 실제로 크게 턴어라운드 했다.

 

2. 한화솔루션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현지 생산세액공제(AMPC)의 대표적 수혜주이다. 아직 주가에 AMPC 수혜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보인다.한화솔루션의 AMPC 수혜금은 올해 1600억 원에서 2024년 2320억 원, 2025년 6800억 원, 2026년 1조 500억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중이다. 2023년까지 세제 혜택은 대략 53억 달러로 추정된다.

 

3. 국내 최초로 태양광과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투자하는 아리랑 태양광&ESS ETF 출시로 인한 수혜주이다. ETF 상품 출시는 시장에 관심을 이끌어 자금 유입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