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업개요
제이시스메디칼은 미용 의료기기 분야에서 선도적인 기업으로,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고 판매하고 있습니다. 주목할 만한 주요 제품으로는 ULTRAcelQ+ (고강도 초음파, HIFU)와 POTENZA (고주파 전자기파, RF) 등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다양한 판매 경로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사쇼핑몰을 통한 온라인 판매, 국내병원을 통한 직접 판매, 그리고 국내 대리점을 통한 유통망을 구축하여 소비자들에게 편리한 접근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시장에서도 강력한 판매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해외 법인을 통한 직접 판매와 다양한 해외 대리점을 통한 판매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제품 라이프사이클은 약 3-4년으로 추정되며, 이 기간 동안 소모품의 지속적인 사용이 필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써 제품의 장기적인 사용과 유지보수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소비자 만족도 유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 기업실적
2023년 올해 2분기, 제이시스메디칼은 놀라운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352억 원에 이르며, 영업이익은 96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로 볼 때, 매출은 14.3% 증가한 수치를 보여주었고, 영업이익도 7.7%의 성장을 이루어냈습니다.
특히 RF(고주파 전자기파) 제품군의 매출은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 시장에서는 '포텐자' 제품의 매출이 놀라운 144%의 증가세를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사이노슈어에 대한 제조자개발생산(ODM) 매출은 공급 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연간 공급 물량이 줄어들었으나, 하반기에 공급이 집중되어 소폭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분기에는 집속초음파(HIFU) 장비의 매출도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 시장은 다소 둔화되었으나 국내 및 동남아시아에서의 판매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소모품 부문에서는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 상승했습니다. 국내외에서의 HIFU 시술 횟수 증가로 카트리지 판매가 늘어났습니다. 반면, 포텐자 팁에 대한 ODM 매출은 여유 재고로 인한 수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일본 시장에서는 판매량이 놀라운 295% 성장하여 포텐자 시슬의 긍정적인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제이시스메디칼의 하반기 실적에 대한 전망은 RF 장비가 주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근 국내에서 출시된 신제품 '덴서티'의 매출이 본격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덴서티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인허가를 받아올 예정이며, 일본 시장에 진출함으로써 RF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포텐자 ODM 제품 또한 하반기에 공급이 집중되어 성과를 내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3. 주가 및 투자포인트
현재 주가는 12,700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제이시스메디칼에 대해 올해 하반기 신제품 판매 실적 및 해외 진출 진행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만 3000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제이시스메디칼 투자포인트
제이시스메디칼은 지속적인 혁신으로 레이저/IPL 중심의 사업모델을 초음파와 고주파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습니다. 가격 경쟁력뿐만 아니라 초음파 제품에서는 Linear 카트리지 기술을 통해 시술 기간과 통증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고주파 제품에서는 펌핑 팁 기술을 활용하여 약물치료와 시너지를 창출하는 기술적 차별화를 구축하였습니다.
2023년 2분기는 장비, 소모품, 기타 매출 모두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성과가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고주파장비를 중심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주파 분야에서는 주력 제품인 포텐자의 ODM 주문이 상반기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일본 시장에서도 포텐자 수출이 견조한 성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불어, 신규 비침습 장비인 Density는 3분기에는 미국에서, 4분기에는 일본에서 판매 허가를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기반하여 2023년 전체 실적은 매출 1,441억 원, 영업이익 423억 원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현재 현주가는 12개월 선행 P/E 비율이 25배로, 상장 이후 평균 (20배) 및 글로벌 동종 업계 평균 (19배)에 비해 고평가 상태입니다. 중국 시장으로의 고주파 장비 진출과 미국 시장으로의 초음파 장비 확대 등 장기적인 성장성 확보를 위한 준비는 중요한 이벤트로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위 글은 매수/매도 추천 글이 아닙니다. 주식 투자에 대한 책임은 모두 본인에게 있습니다.
'국내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C 주가 및 투자포인트 (0) | 2023.08.21 |
---|---|
SK오션플랜트 주가 및 투자포인트 (0) | 2023.08.20 |
셀트리온 주가 및 투자포인트 (0) | 2023.08.18 |
천보 주가 및 투자포인트 (0) | 2023.08.17 |
명신산업 주가 및 투자포인트 (0) | 2023.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