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

현대백화점 주가 및 투자포인트

호구동생 2023. 6. 23. 00:00

1. 기업 개요

 

 2002년 11월 현대그린푸드의 백화점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설립되었다. 백화점업과 면세점업을 하고 있으며, 아웃렛 사업 등 신규사업 또한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백화점 부문은 '21년 2월 더현대서울을 신규 오픈하며 현재 16개의 백화점과 8개의 아웃렛을 운영 중이며, 면세점 부문은 무역센터점, 동대문점, 인천공항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5년 현대시티아울렛 청주점(가칭) 출점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가구제조 부문은 1979년 3월 설립 이후 2000년대 초반까지 텐트로 대표되는 캠핑용품의 제조 및 판매 사업을 하였다. 2000년대 중반부터 주력사업을 매트리스, 베개 및 가구사업으로 전환하여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하고 있으며 약 30년간 캠핑사업을 영위하면서 견고하게 유지해 온 월마트, 케이마트와 같은 대형 소매상과의 영업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빠른 시간 내에 사업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2022년 6월 매트리스, 베개 및 가구사업을 주력사업으로 (주)지누스를 인수하여 가구 제조 부분이 주요 사업으로 추가했다.

 

 국내 백화점 시장 점유율은 롯데백화점(롯데쇼핑) 39%로 1등이며, 현대백화점(28%)와 신세계 백화점(27%)을 차지하며 2,3위를 차지하고 있다.

 

2. 실적

주요 재무 2020 2021 2022 분기 2022/09 2022/12 2023/03
매출 22,732 35,724 50,141   13,721 15,824 10,977
영업이익 1,359 2,644 3,209   922 686 779
EPS 3,005 8,092 6,157   2,134 -602 2,417
PER 23.76 9.28 9.58   6.06 9.58 9.26
PBR 0.37 0.37 0.28   0.26 0.28 0.26

 

 코로나 당시 피해가 엄청 컸다. 21년 이후 소비를 회복하며 참아왔던 소비를 폭발시켰다. 실적과 이익이 다시 회복하였고 특히 면세점 실적이 개선되어 가고 백화점 또한 2분기를 기점으로 반등이 예상된다. 하지만 고물가와 고금리 여파로 부채와 비용 또한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비 둔화 우려가 커보인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백화점 소비(고가의 제품, 사치재) 소비보다는 가격이 낮은 편의점 소비가 늘 것으로 보고 있다.

 

 

3. 주가와 투자 포인트

현대백화점 주봉 차트

 

 실적은 코로나 때와 비교하면 상승했는데 주가는 그때와 비슷하다. 현재 주가는 48,850원으로 코로나 폭락 당시와 비슷하다. 실적은 개선되었으나 전례 없는 물가 상승과 이자비용 부담 증가로 가계의 소비 여력이 위축되어 내수 소비심리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그렇다 하여도 주가는 너무 많이 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아마도 경기가 쉽게 회복되지 않을 거라는 관점이 있다.

 

현대백화점에 대한 투자 포인트

 

1)  대전점 재오픈 :

지난해 화재로 인해 영업 중단된 현대백화점 대전점이 이번 23년 6월 부분 개장을 시작하였으며 7월 중에 완전히 오픈을 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실적에 악영향을 미쳤던 부분을 해소하며 큰 악재가 해소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전지역의 소비재 수요가 회복되며 현대백화점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2) 내수 소비 심리와 주가 반영 :

고금리 고물가로 경기 악화로 인해 내수 소비 심리가 얼어붙었으나, 현재의 낮은 주가는 이를 이미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주가는 경기 회복에 대한 비관적인 시장 관점을 반영했다고 보인다. 경기가 점차 회복되면 내수 소비 심리도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주가 상승의 잠재력이 나타날 것이다. 

 

 

 

해당 글은 주가 매수/매도 권유가 아닙니다. 주식 투자에 대한 책임은 모두 본인에게 있습니다.